
안녕하세요. 핏살롱입니다!
저번글에서 "ATP"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드렸어요. ATP는 인간의 생명활동과 근수축을 위해 필수적인 화학적 에너지원이에요. 우리가 먹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은 결국 어떠한 복잡한 경로를 통해 이 ATP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게 되죠. 그러나 평소 우리 인체 내에 저장된 ATP는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근수축(운동)을 지속하려면 ATP를 계속 재생성해야만 합니다. 운동 중 ATP를 재생성하는 시스템은 크게 3가지(ATP-PC 시스템, 해당과정, 산화적 인산화)이며, 이번 글에서는 첫번째 시스템인 ATP-PC 시스템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해요.
ATP-PC 시스템
1. ATP-PCr 시스템이란?
ATP-PCr 시스템은 인체의 세 가지 주요 에너지 재생성 시스템 중 하나로, 짧고 폭발적인 힘을 필요로 하는 운동에서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체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적은 양의 ATP가 운동 개시 후 빠르게 사용되면, ATP-PC 시스템이 즉각적으로 ATP를 재생성하게 됩니다. 이 시스템은 근육 내에 저장된 ATP(아데노신 삼인산)와 PCr(인산 크레아틴)의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하며, 산소가 필요없기 때문에 무산소성 대사 과정으로 작동합니다.

2. ATP-PCr 시스템의 작동 원리
1) ATP의 분해
운동이 시작되면 근육은 저장된 화학적 에너지인 ATP를 사용하여 근육 수축이라는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합니다. ATP는 아데노신과 세 개의 인산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ATP에서 하나의 인산(Pi)이 떨어져 나가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며 근육 수축에 사용됩니다.
ATP → ADP(아데노신 이인산) + Pi + 에너지
이렇게 저장되어 있던 소량의 ATP가 근육 수축에 사용되고 나서 ATP를 재생성 하지 않으면 우리 인체는 근수축을 할 수 없고 결국 운동을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운동을 지속하려면 ATP를 재생산 해야만 하겠죠?
2) ATP-PC 시스템의 작용
사용된 소량의 ATP는 위의 화학식에 따라 인산(Pi)를 2개 가지고 있는 ADP로 전환됩니다. 이 ADP를 다시 ATP로 빠르게 재생성 해주어야만 운동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PCr(인산 크레아틴)이 작동합니다. PCr는 인체 내 저장되어 있는 또 하나의 고에너지 화합물입니다. PCr은 크레아틴과 인산의 결합체로, 저장된 인산(Pi)을 ADP와 결합시켜 ATP를 재생성합니다. 단계별로 구분해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1단계: PCr → 크레아틴 + Pi (PCr을 creatine과 Pi으로 분해한다.)
- 2단계: ADP + Pi → ATP (분해해서 나온 Pi는 ADP와 만나 결합해서 ATP가 된다.)
3) 효소의 역할
이 과정에서 중요한 효소는 크레아틴 키네이즈(Creatine Kinase)로, PCr에서 인산을 분리하여 ADP와 결합시킴으로써 ATP를 빠르게 재생합니다.

3. ATP-PCr 시스템의 주요 특징
1) 빠른 에너지 공급
- ATP-PCr 시스템은 매우 빠르게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는 고강도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에너지 공급 지속 시간: 약 10초
- ATP-PCr의 역할: 단시간에 최대 강도의 운동을 지원
2) 무산소성 대사
- 위에서 제시한 화학식을 잘 보시면 산소(O2)는 사용되고 있지 않아요. 이 시스템은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호흡을 통한 산소 공급 없이도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짧은 시간 동안의 고강도 활동에서 유리합니다.
3) 제한된 저장량
- ATP와 PCr은 근육에 한정적으로 저장되어 있어 빠르게 고갈됩니다. 이는 지속적인 고강도 활동을 지원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4. 스포츠에서 ATP-PCr 시스템의 적용
- 100m 달리기: 약 10초 동안 최고 속도로 달릴 때 주요 에너지원
- 웨이트 트레이닝: 단시간 동안의 고강도 리프팅
- 점프, 스프린트: 짧고 강렬한 폭발적인 움직임
- 운동 후 회복: ATP-PCr 시스템은 운동 후 짧은 시간 동안 빠르게 회복됩니다. 근육 내 PCr의 재합성은 약 30초에서 1분 이내에 이루어지며, 완전 회복에는 약 2~3분이 필요합니다.

5. ATP-PCr 시스템의 중요성과 한계
- ATP-PCr 시스템은 짧은 시간 동안 최대의 운동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운동 선수나 고강도 활동에 집중하는 사람들에게 이 시스템은 필수적이며, 이를 이해하고 훈련에 적용하는 것은 경기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ATP-PCr 시스템은 고갈되기 쉽고, 에너지 지속 시간이 10초를 넘지 못합니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활동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고갈된 ATP-PCr 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해 체내는 해당작용과 산화적 인산화를 활용해 추가적인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또한 크레아틴 보충제를 통해 PCr 저장량을 증가시켜 고강도 운동 수행 능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맺으며
빠르고 효율적인 에너지 시스템 ATP-PCr 시스템은 짧고 강렬한 활동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에너지 공급 메커니즘입니다. 비록 제한된 지속 시간과 저장량이 단점으로 작용하지만, 빠른 에너지 공급 능력 덕분에 운동의 초기 단계를 지원하는 데 탁월합니다. 이를 통해 운동 중 최상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으며, 올바른 훈련과 영양 보충으로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ATP-PC 시스템에 이어 ATP 재생성에 관여하는 해당과정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핏하게 운동하세요!
'운동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시스템] 유산소성 대사 시스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 체계 (39) | 2025.02.04 |
---|---|
[에너지 시스템] 해당과정: 탄수화물의 에너지 전환 경로 (35) | 2025.01.29 |
신진대사란 무엇인가? 역할과 중요성 (45) | 2025.01.27 |
ATP: 근수축을 위한 필수조건 (38) | 2025.01.23 |
기초대사량은 무엇? 높이는 방법과 계산 공식 (49)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