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생리학

운동 중 항정상태란?

by 핏살롱 2025. 1. 1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핏살롱입니다!
 
여러분 "항상성(homeostasis)"에 대해 포스팅 한 내용 잘 보셨나요?
항상성은 인체 내부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조절 시스템입니다.
그런데 이 항상성과 항정상태를 같은 의미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더라구요.
이 둘은 엄연히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항정상태"에 알아보겠습니다.
 


 

1. 항정상태란?

운동 과학에서 "항정상태(steady state)"최대하 강도의 운동 동안 생리적 반응(예: 심박수, 산소 소비량)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점 또는 정체기(plateau)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심폐 지구력 운동(예: 달리기, 자전거 타기)에서 관찰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에너지 공급과 소비가 균형을 이루며, 운동 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한 이 상태는 지속됩니다.
 

 
   

2. 운동중 항정상태의 예

1) 산소 소비량(Oxygen Uptake, VO2)

운동 시작 초기에는 산소 섭취가 운동 강도를 따라잡기 위해 빠르게 증가하지만, 이후 안정 상태에 도달하면서 정체기 즉, 항정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아래 그래프는 운동 시간에 따른 산소섭취량의 변화를 운동강도별로 구분해서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사이클 에르고미터를 이용해서 와트(watt)로 운동강도를 조절해서 각 운동강도에 따른 산소섭취량을 비교했을때, 운동강도가 높을 수록 초기 산소섭취량이 급격히 증가하지만 일정 시점 이후 모두 항정상태에 돌입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심박수

심박수도 산소섭취량과 유사한 반응을 나타냅니다. 운동 강도가 높아질수록 더 높은 항정상태 심박수에 도달하지만, 일정 시점 이후 모두 항정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출처: pdhpe.net

 

3) 젖산 축적

항정상태에서는 혈중 젖산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는데, 이는 젖산의 생성과 제거 속도가 균형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운동 강도가 유산소 대사 범위 내, 즉 운동강도가 중등도 이하일 때 가능합니다.

출처: missadventurepants.com

3. 운동과학에서 항정상태의 활용

1) 운동 강도 조절

항정상태는 운동 강도를 측정하고 조절하는 중요한 기준점입니다. 예를 들어, 개인이 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강도는 유산소 능력의 척도가 됩니다.

2) 지구성 훈련

지구성 훈련에서는 항정상태를 유지하며 오랜 시간 운동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는 심폐 지구력을 향상시키고, 체내 에너지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3) 건강 관리

항정상태 운동은 중등도 강도의 유산소 운동으로 간주되어 심혈관 건강, 체중 관리,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이는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강도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일반인들에게 특히 적합합니다.
 

4. 항정상태와 운동 강도

항정상태는 주어진 운동 강도 내에서만 유지될 수 있습니다. 운동 강도가 개인의 무산소 역치(Anaerobic Threshold)를 초과하면, 산소 요구량과 젖산 축적이 급격히 증가하여 항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운동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항정상태를 고려하여 강도와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이번글에서는 항정상태에 대해 알아봤어요. 항상성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니 잘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적절한 항정상태의 강도로 운동하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강 증진과 퍼포먼스 향상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럼 오늘도 핏하게 운동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