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생리학

코리 회로의 역할과 작동 원리

by 핏살롱 2025. 2. 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핏살롱입니다!
 
운동강도가 높아지면서 해당과정이 활발해지면 젖산이 발생하고 체내에 축적됩니다. 운동 중 젖산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혈중 젖산 농도가 높아지면 운동수행력이 감소되고 결국 운동을 중단하게 됩니다. 그러나 젖산을 활용해서 새로운 에너지로 만들어주는 시스템이 있는데요, 바로 코리 회로(Cori Cycle)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과정의 원리와 역할을 알아보겠습니다.

 

코리 회로
Cori Cycle

1. 코리 회로란?

  • 코리 회로(Cori Cycle)는 젖산(lactate)이 간에서 포도당으로 재생되는 과정으로, 고강도 운동 중 에너지를 공급하는 중요한 대사 경로를 말합니다. 코리 회로의 Cori는 코리 회로를 발명한 미국 생화학자(Gerty Theresa Cori, MD (1896 – 1957))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어요. 
  • 코리 회로는 격렬한 운동 중 근육에서 해당과정(glycolysis)에 의해 생성된 젖산이 혈류를 통해 간으로 이동한 후, 간에서 포도당(glucose)으로 전환되는 대사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신체가 산소가 부족한 무산소 환경에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기전입니다.
  • 운동 중 근육은 해당과정을 통해 포도당을 분해해 ATP(아데노신 삼인산)를 생성하며,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젖산이 부산물로 축적됩니다. 이후 젖산은 간으로 이동해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되며, 이 포도당은 혈류를 통해 근육으로 돌아가 다시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2. 코리 회로의 작동 원리

1) 젖산 생성 (근육에서의 해당과정)

  • 격렬한 운동 중 근육세포에서 포도당이 해당과정을 거쳐 ATP와 젖산을 생성합니다.
  • 젖산은 혈류로 방출되어 간으로 이동합니다.

2) 포도당 재생성 (간에서의 포도당신생합성)

  • 간에서 젖산은 포도당신생합성(gluconeogenesis) 과정을 거쳐 다시 포도당으로 변환됩니다.
  • 생성된 포도당은 혈류를 통해 근육으로 공급됩니다.

이 과정은 젖산 축적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하는 중요한 생리학적 기전입니다.

출처: http://biocheminfo.com/

 

3. 코리 회로의 역할과 중요성

✅ 젖산 제거 및 피로 완화

  • 젖산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근육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코리 회로는 젖산을 신속히 제거해 운동 지속 능력을 증가시킵니다.

✅ 무산소 대사 환경에서 에너지원 제공

  • 산소 공급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ATP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강도 운동(예: 스프린트, 웨이트 트레이닝) 시 중요한 에너지원이 됩니다.

✅ 포도당 재활용을 통한 에너지 효율 증가

  • 간에서 젖산을 포도당으로 변환함으로써 신체가 한정된 탄수화물 저장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코리 회로의 한계

🔴 에너지 소모가 크다

  • 간에서 젖산을 포도당으로 변환하는 과정(포도당신생합성)은 해당과정보다 더 많은 ATP를 필요로 합니다(ATP 6개가 필요함). 따라서 이 과정이 과도하면 간의 에너지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간의 포도당 생성 능력에 제한이 있음

  • 간의 포도당 재생 능력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고강도 운동 시 결국 글리코겐 고갈로 인해 피로가 발생되고 운동을 중단하게 됩니다.

 

5. 운동과 코리 회로: 어떻게 활용할까?

💡 고강도 운동 후 적절한 회복이 중요

  • 운동 후 젖산이 간에서 효과적으로 처리되도록 충분한 휴식과 영양 보충(탄수화물 섭취)이 필요합니다.

💡 저강도 회복 운동이 도움됨

  • 젖산을 더 빠르게 제거하려면 가벼운 유산소 운동(예: 걷기, 조깅, 스트레칭)이 도움이 됩니다.

 


맺으며

오늘은 코리 회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강도 운동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이 포도당으로 다시 전환되어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다니 참 흥미로운 인체의 에너지 시스템 체계인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핏하게 운동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