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생리학

골격근의 구조, 역할, 기능

by 핏살롱 2025. 2. 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핏살롱입니다!
 
많은 분들이 운동을 통해서 근육을 얻고 싶어하시죠~ 보다 많은 근육을 만들어서 예쁜 몸매와 건강한 몸을 갖기 원하실 겁니다. 오늘은 근육 중에서도 우리가 생각하는 근육 즉,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역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내가 갖고 싶은 근육이라는게 실제 어떤건지 잘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겠죠?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1. 골격근의 계층적 구조

골격근(Skeletal muscle)은 여러 층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이해하면 근육이 어떻게 힘을 생성하고 신체를 움직이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근육부터 근절까지 점점 다 작은 단위로 이루어져 있어요.  

골격근의 주요 구성 요소

계층 구성요소 설명
근육(Muscle) 전체 근육 힘줄과 연결되어 뼈를 움직임
근육다발(Fascicle) 근섬유의 묶음 근육 내 다발 형태로 존재
근섬유(Muscle fiber) 개별 근세포 다행성 세포로 매우 길고 가늘며, 근육의 기본 단위
근원섬유(Myofibril) 근섬유 내부의 세포소기관 근육 수축의 핵심 단위
근절(Sarcomere) 근원섬유의 최소 단위 액틴과 마이오신이 배열되 구조로, 근유의 수축이 일어나는 곳

 
각 계층은 특정한 결합 조직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는 근육을 보호하고 신경 및 혈관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근외막(Epimysium): 근육 전체를 감싸는 결합 조직
  • 근주막(Perimysium): 근육다발을 감싸는 결합 조직
  • 근내막(Endomysium): 개별 근섬유를 감싸는 결합 조직

골격근의 구조

 

2. 근섬유의 내부 구조

근섬유는 길고 가는 세포로, 내부에 여러 개의 세포핵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근섬유 내부에는 근육의 수축을 담당하는 근원섬유(Myofibril)가 가득 차 있으며, 이는 근절(Sarcomere)이라는 단위로 반복적으로 배열됩니다.

근섬유의 주요 구성 요소

  • 근초(Sarcolemma): 근섬유를 둘러싸는 세포막으로, 신경 자극을 전달하는 역할
  • 근형질(Sarcoplasm): 근섬유의 세포질로, 미토콘드리아와 글리코겐이 풍부
  • 근원섬유(Myofibril): 수축을 담당하는 단백질 구조물
  • 근형질세망(Sarcoplasmic Reticulum, SR): 칼슘(Ca²⁺)을 저장하고 방출하여 근육 수축을 조절
  • T-세관(T-tubule): 신경 자극이 근섬유 내부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돕는 구조

근섬유의 주요 구성 요소

 

3. 근절(Sarcomere)의 구조 

근절(Sarcomere)은 골격근의 가장 기본적인 수축 단위이며,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발생되는 곳입니다. 이 구조를 이해하면 근육이 어떻게 힘을 생성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근육의 수축 과정은 꽤나 복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번글에서는 구조만 다루겠습니다.

근절의 구성

구조 설명
Z 선 (Z-line) 근절을 구분하는 경계
I 대 (I-band) 액틴만 존재하는 밝은 부분
A 대 (A-band) 액틴과 미오신이 겹치는 부분
H 대 (H-zone) 미오신만 존재하는 부분
M 선 (M-line) 미오신이 중앙에서 고정된 부분

근절의 구조

 

4. 골격근의 특징과 역할

근육의 종류는 심장근, 골격근, 평활근으로 구성됩니다. 골격근은 심장근이나 평활근과는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가집니다.

  골격근(Skeletal muscle) 심장근(Cardiac muscle) 평활근(Smooth muscle)
작동 방식 자발적(수의적) 불수의적 불수의적
구조 가로무늬근 가로무늬근 민무늬근
핵 개수 다핵성 단핵성 단핵성
신경 지배 체성 신경계 자율 신경계 자율 신경계
피로 여부 피로함 피로 안 함 피로 안 함

 

골격근의 주요 기능

  • 운동 및 자세 유지: 근육의 수축을 통해 움직이고, 몸의 균형과 자세를 유지
  • 체온 조절: 수축 시 열을 생성하여 체온 유지에 기여
  • 에너지 저장: 근육 내 글리코겐(glycogen) 저장, 필요 시 ATP 생성
  • 혈액 순환 보조: 정맥 혈류를 심장으로 되돌리는 데 도움
  • 신진대사 조절: 근육량이 많을수록 기초대사량 증가

 


 

맺으며

골격근은 단순한 움직임을 넘어, 에너지 대사, 체온 조절, 신체 기능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운동을 전공하시거나 또는 운동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필수적으로 골격근에 대해서는 공부를 해두시면 좋습니다. 앞으로 골격근이 어떻게 움직임을 발생시키는지 생리학적인 관점에서 하나씩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핏하게 운동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