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핏살롱 원장입니다!
요즘 젊은 직장인을 포함해서 많은 분들이 직장까지의 출퇴근 시간이 편도 1시간~1시간 30분 정도라고 하더라구요ㅠ 왕복 2~3시간 ㅠㅠ 모두 힘내시기 바랍니다!
직장 주변에 집을 얻을 수만 있다면! 삶의 질이 달라질텐데요ㅠ
그래서 오늘은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시세의 60~80%의 낮은 수준으로 집을 구할 수 있는 행복주택 공급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행복주택 공급 제도는?
행복주택은 정부가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등 주거 약자 계층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특히 대중교통이 편리하거나 직장이 근접한 곳에서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시중시세의 약 60~80%) 공급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사회생활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젊은층들에게 특히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러나 거의 모든 연령층이 해당되기는 합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보셔요.

지원 내용
- 전용 면적 60m2 이하 주택을 인근 임대시세보다 60~80% 저렴한 임대료로 최대 6년-20년까지 거주가능한 공공임대주택 공급
- 각 계층에 따라 임대료 상이
- 대학생 또는 소득없는 청년은 시세의 68%
- 소득 있는 청년 또는 창업 및 지역전략산업 지원주택 입주자는 시세의 72%
-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산업단지근로자, 중소기업전용주택 입주 장기근속자는 시세의 80%
- 고령자는 시세의 76%
- 주거급여수급자: 시세의 60%
- 최대 거주 기간
- 대학생 및 청년은 6년
-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창업지원주택 및 지역전략산업지원주택의 입주자 또는 중소기업전용주택 입주 장기근속자는 6년(자녀가 없는 경우) 또는 10년(자녀가 1명 이상인 경우)
- 주거급여수급자는 20년
- 고령자 20년
- 산업단지 근로자 6년
임대료 적용 비율 | 최대 거주 기간 | |
대학생 및 소득없는 청년 | 시세의 68% | 6년 |
소득있는 청년 | 시세의 72% | 6년 |
창업지원주택 및 지역전략산업지원주택의 입주자 | 시세의 72% | 6년(무자녀), 10년(유자녀) |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중소기업전용주택 입주 장기근속자 | 시세의 80% | 6년(무자녀), 10년(유자녀) |
산업단지근로자 | 시세의 80% | 6년 |
고령자 | 시세의 76% | 20년 |
주거급여수급자 | 시세의 60% | 20년 |
지원 대상
-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사회 초년생(만 19~39세).
- 신혼부부 및 한부모 가족: 결혼한 지 7년 이내 또는 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경우.
- 고령자: 만 65세 이상.
- 기타: 산업단지 근로자, 예술인 등.
위와 같이 다양한 연령대가 지원 가능하나 선정 기준에 포함이 되어야만 합니다.
신청 방법
행복주택 신청은 해당 공공주택사업자의 홈페이지 및 대표전화를 이용하여 확인 후 신청가능합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 경기도시공사 등 웹사이트에서 공고를 확인하시고 신청해주세요.
행복주택 공급 서비스는 직장 주변이나 또는 인프라가 잘 구축된 동네에서 저렴하게 집을 얻을 수 있는 서비스 제도인 것 같아요! 초기 비용 부담이 없이 주거 안정을 꾀할 수 있고, 교통과 생활 인프라가 편리한 곳에 집을 구할 수 있으며, 청년층의 자립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돕는다는 측면에서 좋은 서비스라고 생각이 됩니다!
'일상공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지원 내용, 조건, 신청방법 (4) | 2025.01.16 |
---|---|
전세사기 예방과 대처방법 알아보기 (15) | 2025.01.14 |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 내용, 신청 방법 (15) | 2025.01.12 |
육아휴직급여 2025년도 개선사항, 얼마까지, 자격 조건 (22) | 2025.01.11 |